![](https://blog.kakaocdn.net/dn/pQOJy/btsIpA5k9KG/3RhUvkZSnExxMQ1AKh8AD1/img.webp)
급발진 원인과 대처법, 전문가의 목숨 지키는 급발진 대처법
최근 급발진 사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급발진이란 차량이 정지해 있거나 낮은 속도에서 운전자의 의도와 다르게 갑자기 높은 출력으로 가속하는 경우를 말하는데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차량을 제어할 수 없다고 합니다. 자동차 급발진은 운전자와 탑승자는 물론 도로 위의 보행자나 주변 건물, 기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지난해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연도별 국내 급발진 의심 차량 신고 현황(2010년~2022년)’에 따르면 13년간 자동차 급발진 의심 신고가 766건에 달했다고 합니다. 그중 휘발유 차량이 337건, 경유 220건, LPG 149건, 하이브리드 34건, 전기 26건 순이었다고 하는데요. 변속기 종류별로 보면 자동 변속기 차량이 669건으로 압도적이었다고 합니다.
급발진은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운전자의 생명과 타인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됩니다. 그럼 급발진 사고의 원인과 대표적인 사례, 그리고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급발진 사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차량의 전자제어 시스템에 결함이 있거나, 엔진 및 가속 페달 관련 부품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운전자의 실수나 외부 요인에 의해 급발진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급발진을 법적으로 제조사가 인정한적이 없고 대부분 운전자 과실로 결론 나는 상황이기에 급발진의 정확한 이유와 원인을 명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운전자로서 마땅하게 예방이나 대처할 방법이 없습니다. 또한 이런 급발진의 가장 큰 문제는 급발진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지 알수없는 예고없이 발생하는 사고라는 점입니다.
대표적인 급발진으로 인정된 사고 사례로는 2009년 미국에서 발생한 토요타 차량의 급발진 사고가 있습니다. 이 사고로 인해 여러 명이 사망하고, 토요타는 대규모 리콜을 실시하며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국내에서도 급발진 사고로 인한 피해 사례가 여럿 보고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논쟁과 논의 그리고 조사가 결론도 못낸체 아직도 지리하게 계속되고만 있습니다.
자동차 급발진 전조증상
급발진 대처, 급발진 원인, 전기차 급발진, 급발진 전조증상, 급발진 사고
자동차 급발진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조금이라도 급발진이 의심된다면 차량 운행을 멈추는 것이 중요한데요. 절대 직접 운전하지 말고, 견인차로 차량을 정비소로 이동한 뒤에 정밀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아래외 같은 급발진 전조증상을 인지한다면, 동영상으로 촬영해 증거 영상을 남겨둔 뒤 제조사에 제출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1. 엔진이 굉음과 함께 진동
시동을 건 직후에 자동차 엔진에 큰 굉음과 비정상적인 진동이 생긴다면 급발진 전조증상으로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다수의 자동차 급발진이 시동을 걸고 출발과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짧은 순간에 사고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는 시동 소리에 따라 차량 상태를 간단히 진단할 수 있는데요. 시동을 걸 때 시원하게 부르릉 소리가 나지 않고 컥컥거리면서 날카로운 소리가 나거나 시동 걸리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벨트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rpm이 비정상적으로 상승
자동차 엑셀을 살짝 밟았는데 rpm이 3,000rpm 이상 비정상적으로 상승하거나 엑셀에서 발을 뗀 뒤에도 rpm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급발진 전조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때는 즉시 운행을 멈추고 견인차를 불러야 합니다. rpm이 높아지면 엔진의 회전 수가 많아져 자동차의 출력이 높아진다는 뜻이고, 속도가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급발진 사고가 발생했을 때 나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그전에 브레이크의 작동원리와 시스템을 일단 알아두셔야 이 대처법을 좀더 잘 이해 할수 있을것이기에 내연기관차와 전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동장치 시스템에 대해 알려 드릴께요.
![](https://blog.kakaocdn.net/dn/rkDUC/btsIpglIZTA/XK2ObKX4pg41WV9mg4pph1/img.webp)
차종별 브레이크 시스템
내연기관 자동차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그 힘이 진공 배력 장치인 하이드로백을 지나 증폭되어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밀어 유압을 발생시킵니다. 이때 유압 증폭 양은 하이드로백의 크기에 따른 진공량, 상태에 따른 진공률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사람이 페달을 밟는 힘의 3배 정도입니다. 즉 20kg의 힘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약 60bar의 유압이 발생해 캘리퍼에 전해지고, 그 유압으로 패드가 디스크를 눌러 차를 세우는 시스템으로 되어있습니다.
하이드로 백의 역할은 냉장고에 넣어 두었던 유리병의 마개를 열 때 상황을 떠올려 보시면 이해가 잘됩니다. 냉장고에 넣어 두었던 유리병의 내부는 차가워져 기압이 낮기 때문에 외부의 따뜻한 대기압이 뚜껑을 눌러서 잘 열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뜨거운 물에 유리병을 넣어 두면 내부 기압이 올라가 잘 열리죠. 하이드로백은 이러한 기압차를 이용하여 페달을 밟아 발생한 힘을 증폭시키는 부품인데 시동이 꺼지거나 하이드로백이 고장 나 진공이 되지 않으면?... 진공이 되지 않으면 페달을 밟는 힘을 증폭시키지 못하기에 오로지 오로지 발힘으로만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밀게 됩니다. 따라서 시동이 꺼지면 페달이 딱딱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이때는 발힘으로만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밀어야 제동이 됩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가 하이드로백을 대신해 페달을 밟는 힘을 센서로 측정한 후 이를 반영해 하이드로 백의 증폭 양과 유사하게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밀어 유압을 발생시킵니다. 때문에 하이드로 백이 있는 내연기관은 시동이 꺼지면 페달이 딱딱해져 밟히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전기차 등은 모터가 고장 날 경우 페달이 반대로 쑥 내려가게 있게 됩니다.
이런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전문가들은 몇 가지 중요한 조언을 제공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twTMQ/btsIoruF7e4/5sXSXp2DrHIkj4Ks2qwV00/img.webp)
급발진 대처법: 전문가의 상세한 조언
급발진 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대처 방법입니다.
1. 일단 침착해야 합니다.
매우 힘든 일이지만 그럼에도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라" 이게 가장 중요합니다.
2.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기 ( 사이드브레이크 또는 파킹브레이크는 절대 작동시키지 말것 )
급발진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할 일은 브레이크를 최대한 강하게 밟는 것입니다. 이때 브레이크를 여러 번 끊어서 밟지 말고, 한 번에 강하게 지속적으로 밟아야 합니다. 최신 차량에는 브레이크 우선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 가속 페달을 밟고 있어도 브레이크가 우선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만일 최대한 힘껏 밟았는데도 브레이크가 움직이지 않을땐 어쩔수 없이 두발을 모두 이용해 체중을 실어서 브레이크 패달을 밟아주면 브레이크가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아 오른발만 올려놓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때는 대부분 20kg 정도의 힘을 겨우 넘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시동 꺼짐 시나 브레이크 고장시 필요한 힘은 50kg입니다.
시동 꺼짐 시 50kg 가까운 정지 제동의 힘을 내기 위해서는 다리를 지렛대처럼 사용해 뒤꿈치로 있는 힘껏 브레이크 페달을, 다리가 부러지는 것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로 세게 밟아야 된다는 점을 꼭 기억해 두십시오.
이때 핸들링을 위해 몸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왼발은 몸을 지지하는 데 사용해야 합니다. 엉덩이를 시트에 밀착시켜 다리를 지렛대 삼아 오른발의 중심이나 뒤꿈치로 페달을 있는 힘껏 밀어야 합니다. 이런 바른 자세는 에어백이 터질 경우의 충격을 대비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사이드 브레이크는 절대로 작동시켜선 안됩니다. 고속으로 급발진 하는 차량에 사이드 브레이크를 강제로 걸면 차량이 완전히 내 컨트롤 범위를 넘어서는 불상사가 벌어져 크게 회전하거나 전복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절대 사이드 브레이크는 작동하지 않아야 겠습니다. 전자식 파킹브레이크(EPB)가 적용된 차량 역시 사이드 브레이크와 같은 장치이기에 절대 작동해선 안됩니다. 이유는 동일 합니다.
3. 기어를 중립(N)으로 전환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으면서 동시에 기어를 중립(N)으로 전환합니다. 자동 변속기 차량의 경우, 중립 기어로 전환하면 엔진과 구동계통이 분리되어 가속이 멈추게 됩니다. 수동 변속기 차량의 경우,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중립으로 이동시키면 됩니다. 이 과정에서 기어를 잘못 조작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경우는 선제적으로 브레이크가 작동 되기 시작해야만 기어가 작동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보통 급발진을 당한 사람들의 증언에 따르면 급발진이 시작 되면 기어도 작동이 안된다고 합니다. 대신 브레이크가 조금씩이라도 작동만 되면 중립도 작동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후속 조치로 해볼만한 조치인건 확실합니다.
4. 엔진 시동 끄기 ( 매우 신중하게 최후의수단으로 고려할것 )
기어를 중립으로 전환한 후에도 차량이 멈추지 않으면, 엔진 시동을 끄는 방법도 고려해 볼만 합니다. 시동을 끄면 파워 스티어링과 브레이크 보조 장치가 모두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더이상 차에 대한 조향장치 즉 방향 컨트롤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이 방법은 정말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시동을 끄는 경우, 키를 한 번에 돌리지 말고, 서서히 돌려 엔진을 끄되 핸들 잠금 장치가 걸리는걸 대비해서 직선 코스가 매우 길게 뻗은 구간이나 지나는 차량과 사람이 없고 전방 충돌시 충격을 완충해줄 장애물이 있을때 사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5. 핸들을 잡고 안전한 장소로 유도
차량이 멈출 때까지 핸들을 단단히 잡고, 최대한 안전한 장소로 유도합니다. 급발진 상황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높아져 핸들이 무거워질 수 있으므로, 평소보다 더 강하게 핸들을 잡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도로 상황을 잘 살피면서 주변 차량과 충돌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이번 사건에서 봤듯이 보도의 가드레일은 그다지 강한 재질이 아니기에 감속을 위해 충돌 장애물로이용 할때는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반드시 주변에 사람이 없는 곳을 택해서 충돌감속을 시도해야 합니다. 그리고 정면으로 충돌해 속도를 줄이지 말아야합니다. 정면 충돌감속은 외부 사람들에게도 엄청난 피해가 가며 본인의 안전도 보장할수 없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측면을 긁듯이 사선으로 충돌을 해야하며 충격으로 핸들을 컨트롤 할수 있는 선까지 측면 충돌을 유지해야 합니다. 강한 충돌로 자칫 핸들 제어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핸들을 붙잡아야 합니다. 이부분은 말이 쉽지 막상 닥치면 컨트롤 가능할 사람이 정말 많을까 하는 의문이 들긴합니다. 그럼에도 최선을 다 할수 밖에 없겠죠....
6. 비상등 켜기
급발진이 발생한 즉시 비상등을 켜서 주변 운전자들에게 위험을 알립니다. 비상등을 켜는 것은 다른 차량에게 경고를 주어 충돌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7. 사고 발생 후 신고 및 기록
차량이 안전하게 멈춘 후에는 즉시 경찰과 차량 제조사에 신고합니다. 급발진 사고의 정확한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사고 현장의 상황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기록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차량 블랙박스나 데이터 기록 장치(EDR)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전문가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처럼 급발진 사고는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사전에 대처 방법을 숙지하고 있다면 위기 상황에서 적절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차량 운전 시 항상 주의하고, 정기적으로 차량 점검을 받는 것도 중요한 예방 조치입니다. 급발진 사고에 대한 이해와 대처 방법을 알고 있다면, 보다 안전한 운전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전한 운전 생활을 위해 이러한 대처 방법을 기억해 두세요.
'................ 생활정보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수표 취소 환불 후 계좌로 송금 재지급 받는 방법 (48) | 2024.07.07 |
---|---|
SK하이닉스 신입사원 채용,이천 ,2024년 7월 공고 (11) | 2024.07.05 |
애드센스 방문자 많으면 수익도 많을까? 블로거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의점 (77) | 2024.07.05 |
네이버 검색어 순위 조회 설정하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4) | 2024.07.05 |
국내 은행 SWIFT코드(BIC) 영문 은행명 전체 목록 2024년 7월 정보 (5) |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