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증권사 HTS에서도 PER, PBR 수치가 다른 이유는?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원인!
같은 증권사의 HTS(홈트레이딩시스템)에서도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 수치가 같은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다르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ER, PBR 계산 기준의 차이
PER과 PB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PER (주가수익비율)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PBR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 ÷ 주당순자산(BPS)
그런데 EPS(주당순이익)과 BPS(주당순자산)가 어떻게 계산되느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실적 반영 기준(과거 vs. 예상)
HTS에서 제공하는 PER, PBR은 실적 반영 기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Trailing PER (과거 실적 기준)
- 최근 12개월 동안의 실적을 기준으로 계산
- 일반적으로 TTM(Trailing Twelve Months)이라고도 함
✅ Forward PER (미래 실적 기준)
- 향후 12개월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계산
- 증권사 애널리스트가 전망한 EPS를 사용
✅ BPS도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
- 직전 분기의 순자산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 연간 실적을 반영한 값을 사용할 수도 있음.
같은 증권사 HTS에서도 어떤 실적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PER과 PBR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3. 주가 반영 시간 차이
PER과 PBR은 주가를 기반으로 계산되므로, 적용하는 주가가 다르면 수치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주가 반영 기준이 다를 경우
- HTS에서 실시간 주가를 반영한 PER/PBR
- 일부 화면에서는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된 PER/PBR
- 특정 조건(예: 평균 주가)으로 계산된 PER/PBR
이처럼 계산에 사용되는 주가가 다르면 같은 시기에도 수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연결재무제표 vs. 개별재무제표 차이
HTS에서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PER/PBR과 개별재무제표 기준 PER/PBR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연결재무제표 기준
- 자회사 실적을 포함하여 계산
- 자회사의 이익이 크면 PER이 낮아질 가능성 있음
✅ 개별재무제표 기준
- 모회사(본사) 실적만 반영
- 자회사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PER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따라서 HTS에서 조회하는 화면에 따라 PER/PBR 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데이터 업데이트 주기 차이
증권사 HTS에서는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불러오기 때문에, 업데이트 시점이 다르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 한 화면은 5분 단위로 업데이트되는 반면,
- 다른 화면은 하루 1회 업데이트될 경우,
- 같은 시기에 보더라도 PER/PBR 값이 달라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실적 발표 시즌에는 재무 데이터가 반영되는 속도 차이 때문에 더욱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결론: 같은 HTS에서도 PER/PBR 차이가 나는 이유
✅ 실적 기준 차이 (과거 vs. 예상 실적)
✅ PER, PBR 계산 시 적용하는 주가가 다를 수 있음
✅ 연결 v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차이
✅ 데이터 업데이트 주기 차이
🔍 HTS에서 PER과 PBR을 볼 때는 기준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은 증권사 HTS에서도 어떤 주가를 반영했는지, 어떤 실적 데이터를 사용했는지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경제정보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증자란? 주식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개념과 주가 영향 분석! (2) | 2025.03.21 |
---|---|
유상증자란? 주식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개념과 영향 분석! (0) | 2025.03.21 |
PER, PBR 수치가 증권사마다 다른 이유?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원인! (1) | 2025.03.20 |
LG에너지솔루션 주가 전망 : 2025년 주가 분석과 투자 전략 (3) | 2025.03.19 |
LG화학 2025년 전망 실적 부진 속 생존 전략과 성장 가능성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