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 (黃龍) 한국 민화와 전설 속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 역사 사건 전설

황룡 (黃龍) 한국 민화와 전설 속 이야기

by GhostJiN 2024. 7. 9.

 

반응형

황룡 (黃龍) 한국 민화와 전설 속 이야기

용 (龍)

본디 용은 본디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이 존재합니다. 한국의 용은 중국과 일본의 용과 비슷하면서도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용은 물과 하늘을 지배하는 신성한 존재로, 풍요와 번영을 상징합니다. 용은 보통 길고 유연한 몸, 날카로운 발톱, 그리고 날개 없는 형태로 그려집니다. 이무기가 수백년 도를 닦아서 여의주를 얻으면 용이 된다고 여겨집니다.보통 손가락은 네다섯개 혹은 3개인 경우도 있으며  중국에서는 7개인 경우도 많습니다. 

 

 

황룡 (黃龍)

황룡(黃龍)은 한자 문화권의 상상의 동물로, 노란색 혹은 금색을 띤 용을 말합니다. 다른말로 금룡(金龍)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황금 용은 고대 중국 제국에서는 황제의 상징이었습니다. 용들 중에서 존귀한 용신이라고 하며 지상에 경사로운 일이 생기면 등장하는 성서로운 용이며 모든 용들을 거느리는 용들의 최고수장이라고 합니다. 성격 자체 또한 사신수보다도 기린과 함께 훨씬 자비로우면서도 온순한데, 이로 인해 사신수 중 하나인 청룡과는 극명하다고 할만큼 성격이 다른 탓에 사이는 그렇게 좋지 않다고 합니다.

 

오방색에 따라 동서남북의 가운데 있는 중앙은 황금 또는 황금 빛(土)으로 상징했는데, 황제의 상징인 용과 중앙을 가리키는 황금 빛을 결합함은 중국 사상에서 필연적이였습니다. 따라 중국인들은 용을 강력한 황제의 상징으로 크게 경외했고 이런 점에 착안해 당시 도가에서는 네 방위를 가리키는 사신만 있고 중 즉 중앙이 허전하다는 이유를 들어 기린과 황룡이 사신을 거느린다는 식으로 끼워맞춰 해석하려고 했습니다. 황룡이 황제의 또다른 모습이라는 식으로 황제의 정당성과 신격화 하려는데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애초에 오행사상의 관점에서 중앙의 '대지'에 해당하는 생물은 기본적으로는 인간이였습니다. 실제로 오방의 수호신을 적용할 때 가운데에는 기린을 넣습니다. 황룡은 사용할때는 사방에 오룡을 다 깔아놨을 때 주로 사용되지만 중국에서는  황권 강화을 이유로 혼용해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당제국 구양순이 칙령을 받들어 편찬한 유서인 예문유취(藝文類聚) 98권에서 서응도에서 말하길 황룡은 사룡의 장이라고 기록하고 있기도 합니다. (瑞應圖曰. 黃龍者. 四龍之長)(출처) 그러면서, 이 황룡은 사방신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중재하는 역할을 맡는 것은 물론, 음양의 조화와 만물의 성장, 중앙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존재 자체가 권위와 조화를 상징하기에 절대권력의 수호자로도 묘사가 됩니다.

 

중국의 사상에서 볼때 황룡을 상징하는 음양오행은 토(土)이기에 자연의 토양을 관장하고, 인간의 생(生)을 담당하며 다른 사신들의 왕이자 모든 용들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존재인 용신에 해당되기도 합니다. 세계의 중심에 거하며, 세계의 중심과 다른 사신들까지 지배, 통솔하고 관장하는 신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행운과 권력을 나타내고 일부는 시간과 계절을 조종할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물리적인 힘을 행사하기 보다는, 정신적으로 상대에게 자발적인 복종심과 충성심을 끌어내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사신수들과 함께 오방신으로 불리며, 절대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고 합니다.

 


1. 毘羯羅(びから)大将像.        子      비갈라,    쥐(자).       水 - 양
2. 招杜羅(しょうとら)大将像   丑      초두라,    소(축).       土 - 음
3. 真達羅(しんだら)大将像      寅      진달라,    범(인).       木 - 양
4. 摩虎羅(まこら)大将像         卯      마호라,    토끼(묘).    木 - 음
5. 波夷羅(はいら)大将像         辰      파이라,    용(진).       土 - 양
6. 因達羅(いんだら)大将像      巳      인달라,    뱀(사)  한국 火, 중국 土, 일본 水 - 음
7. 珊底羅(さんていら)大将像   午      산데이라, 말(오).        火 - 양
8. 頞儞羅(あにら)大将像         未      알니라,    양(미)        土 - 음
9. 安底羅(あんていら)大将像   申      안지라,    원숭이(신).  金 - 양
10.迷企羅(めきら)大将像        酉      미기라,    닭(유) .       金 - 음
11.伐折羅(ばさら)大将像        戌      버절라,    개(술)         土 - 양
12.宮毘羅(くびら)大将像        亥      궁비라,    돼지(해)      水 - 음

 

일본에서는 십이천장 혹은 십이신장(十二神將) 또는 십이신왕(十二神王)은 열두 방위(方位)에 맞추어서 호랑이·토끼·용·뱀·말·소·원숭이·닭·돼지·개·쥐·양을 대표합니다. 이것은 중국 도교(道敎)의 방위신앙에서 강한 영향을 받았는데 이 십이신장중 용의 문양을 한 파이라가  기린과 동일시된다고 여겨집니다.

 

황룡이라는 이름은 전한(前漢) 및 오(吳)나라의 연호(年號)로도 쓰였고 수(隋)제국 시대의 군선의 이름으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한국사와 관련해서는 신라 진흥왕조 553년 원래 궁전인 월성(月城)의 동쪽에 새로운 궁전을 건설하려 했는데 그 곳에서 황룡이 나타났고, 이에 궁전 건설은 포기하고 대신 거대한 사찰로 고쳐 짓게 하였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사원의 이름을 황룡사라고 하게 되었습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3년, 봄 3월, 황룡이 골령(鶻嶺)에 나타났다. 가을 7월, 골령 남쪽에서 상서로운 구름이 나타났는데 그 빛이 푸르고 붉었다" 라고 적었으며, 고구려본기에서는 "5년 여름 4월, 황궁의 문기둥에 벼락이 쳐 황룡이 그 문에서 날아갔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백제본기에서는 "고구려 시조 추모왕이 황룡을 탔다고 한다" 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다만 삼국시대 기록인 광개토대왕릉비와 문무왕릉비에는 황룡을 탔다고 되어 있지만, 고려시대부터는 황룡 대신 기린을 탔다고 되어 있습니다. 고려는 태조 왕건의 조상인 원창왕후 저민의가 서해 용왕의 자녀이며 황룡이라는 전설이 있습니다. 그래서 고려 황실도 용의 피가 흐르는 용족이기에 겨드랑이 아래에 용비늘이 왕씨 혈족들에는 모두 있었다는 이야기도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조선시대 군영에서 쓰던 대오방기에는 동서남북에 사신을, 가운데에는 하늘을 나는 파충류를 그린 등사기를 놓았다. 그밖에 도교류의 예언서인 조선 명종때 예언가 격암 남사고의 예언서에는 中央戊己五十土(중앙무기오십토) 黃帝將軍(황제장군) 句陳騰蛇(구진등사)라는 구절이 있기도 합니다. 이건 위서라는게 학계의 정론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