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살개의 역사와 유전적 혈통 민화 속 한국의 전통 품종
삽살개는 주로 한국 동남 지방에서 서식하던 국산 개의 품종으로, 고려와 조선 시기에 전국으로 퍼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992년에 천연기념물 제36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삽사리, 삽살이로도 불리며, 털이 긴 개라는 의미로 낙사구(絡絲狗), 방구(尨狗), 더풀개, 더펄개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삽살개는 잡귀를 쫓는 퇴마견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전해지는 설화에 따르면 청삽사리를 '사자방'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삽살개라는 이름은 '액운(煞·살)을 쫓는(揷·삽) 개'를 의미합니다. 삽살개는 소형견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진돗개보다 조금 더 작은 중형견으로, 키는 약 49cm에서 55cm, 무게는 17kg에서 21kg 정도입니다. 털색은 크게 청색(검은 삽살개를 청삽사리라 함)과 황색으로 나뉘며, 최근에는 백삽사리나 바둑이 삽사리도 태어나고 있습니다.
한국삽살개 보존회는 유전 공학적으로 삽살개의 혈통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 인증을 받은 삽살개를 키우고자 할 경우 공식 홈페이지에서 분양받는 것이 확실한 삽살개 입양 방법입니다. 장모 삽살개 중 검은색은 양구니라고 불립니다.
일제강점기 때 진돗개가 내선일체의 수단으로 보호된 반면, 삽살개는 고기와 털가죽 때문에 대량으로 도축당하는 수난을 겪었습니다. 일제는 내선일체에 이용되지 못한 삽살개를 비롯한 여러 견종을 도축했으며, 2차대전 말기에는 물자 부족으로 일본 내에서도 자국 개들을 도축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삽살개는 이후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DNA 발견과 연구를 통해 다시 복원되었습니다.
진돗개나 풍산개와 달리 삽살개는 여러 고전문학작품에 등장하는데, 대표적으로 <숙향전>에 나오는 청삽사리가 있습니다. 삽살개는 충성심이 강하고 주인에게 절대적으로 순종하며 온순하고 애교가 많습니다. 그러나 다른 개들과 무작정 섞어두면 서열 다툼이 벌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삽살개는 주인과 떨어지면 잊지 못하는 성격이며, 산책 시 주인 곁에 붙어 다니려는 습성이 있습니다. 또한, 머리가 좋아 훈련을 잘 받으면 번견, 구조견으로도 손색이 없습니다.
삽살개는 특히 인내심이 대단하며, 고통에 잘 표현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주인이 개의 상태를 잘 관찰해야 합니다. 삽살개는 털 관리가 중요하며, 관리가 소홀하면 털이 뭉치고 딱딱해질 수 있습니다. 눈 주위의 털은 개의 눈을 다치게 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관리를 해야 합니다.
삽살개는 백색에 가까운 크림색, 고동색, 흑색, 청회색 등의 긴 털을 지니고 있으며, 덩치는 결코 작지 않아 성체의 크기는 중형견입니다. 얼굴을 비롯해 전신을 둥글게 덮은 긴 털과 처진 귀 때문에 넉살좋아 보이는 모습이지만, 눈을 덮고 있는 긴 눈썹을 옆으로 젖히면 날카롭게 바라보는 눈동자에 놀랄 수 있습니다. 털 관리를 잘해야 청결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삽살개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유전적 독창성이 있는 토종개이지만, 그 외모와 기준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아 논란이 계속되고 있었다. 삽살개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외국 품종과의 유전자형 비교 결과, 삽살개가 외국 품종과는 차별화된 유전적 특성을 보이며 순종임을 나타냈습니다.
삽살개는 과학적 연구에 의해 적어도 3천년 이상 한반도에서 독립적으로 번성한 순수 한국 내 토종개로 확인되었으며, 최근 외국 견종과의 교잡을 통해 만들어진 종이라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억지 주장인 것이 밝혀졌습니다. 긴 털을 가진 티베탄 테리어, 라사압소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친척 관계를 보였지만 삽살개는 1만년 전 분리된 다른 가지를 가진 종르로 번성해 왔습니다. 그리고 유럽 품종과는 유전적 거리가 상당히 멀었습니다. 이는 삽살개가 외국 품종과 혈통이 섞이지 않은 순종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유전자 게놈 연구 결과 1만 2000년 전의 고대 개 27마리의 유골 DNA에 의하면 동남아 혈통과 유라시아 혈통이 분기돼 아시아 대륙 남북으로 분리된 시점은 7000년 전 이상 된 오래전 일이라고 하며 이중 북방 유라시아 혈통이 유럽과 북아시아, 아메리카 대륙 모든 개들의 혈통 형성에 관여했다고 합니다. 이 개들은 약 7000 ~ 1만 년 전 남북으로 사람을 따라 이동하다가 아시아 대륙 남쪽 끝자락에서 살게 된 개들은 수천 년이 지나 약 3000년 전 남방 농업인들을 따라 이동해 한반도에 도달했고 먼저 정착한 북방 개들을 다시 만나 유전적으로 섞이면서 현재의 ‘한국 개’라는 정체성을 띤 집단을 이루게 된 것이라는 사실도 발혀졌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한반도 반만년 역사를 가진 한민족과 함께 해온 우리 개의 역사인 것 입니다.
오늘은 우리 자랑스러운 반만년 역사의 희노애락을 함께 해온 우리의 전통 강아지 삽살게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오늘하루도 사랑스러운 우리 강아지들과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다음에 더 좋은 글로 다시 만나겠습니다.
'................ 애완동물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황실견 시추 애견 입양 가이드: 건강 관리, 훈련, 특징 (28) | 2024.06.24 |
---|---|
선천적 슬개골 탈구에 좋은 음식 그리고 치료와 예방법 (26) | 2024.06.24 |
인기견종 동아시아 각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강아지들은 무엇일까? (41) | 2024.06.23 |
인기 견종 유럽 각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강아지들은 무엇일까? (4) | 2024.06.23 |
특별한 나만의 이색적인 애완동물 친구를 만들고 싶다면? 강력추천!! (28) | 2024.06.22 |